여행, 동물, 기타/e뮤지엄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신소연) 추천 소장품

오죽 (OJ) 2022. 3. 22. 22:46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신소연) 추천 소장품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에 전시 중인 감산사(甘山寺) 미륵보살상(국보 81호)과 아미타불상(국보 82호)은 광배 뒷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통일신라 8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불상입니다. 미륵보살상에는 381자의 명문이, 아미타불상에는 392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그 내용은 불상의 제작 연대와 조성자, 조성 배경을 알려줍니다. 명문의 일부 내용이 일연(一然)의『삼국유사(三國遺事)』권3 탑상(㙮像) 제4 남월산(南月山) 조(條)에도 인용되어 있어 두 상은 조성 당시부터 중요한 불상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산사 미륵보살상, 통일신라 719년, 높이 270.0 cm, 국보 81호

 

감산사 아미타불상, 통일신라 719~720년, 높이 275.0 cm, 국보 82호


김지성의 생애와 발원 배경

광배의 명문에 따르면 성덕왕(聖德王) 18년(719) 2월 15일(부처의 열반일), 신라의 관료였던 중아찬(重阿湌) 김지성(金志誠)이 고인이 된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찬(一吉湌)과 어머니 관초리(觀肖里) 부인을 위해 감산사를 세우고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을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김지성은 여러 관직을 거쳐 집사부(執事部)의 시랑(侍郞)에 올랐던 6두품의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성덕왕 4년(705) 견당사(遣唐史)로 당(唐)에 다녀왔으며, 명문에 나타난 상사(尙舍)라는 직함은 당에서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정치적인 뜻을 이루지 못하고 67세(718)에 조정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이후 전원으로 돌아가 한편으로는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유유자적함을 흠모하기도 하였으나, 불교 논서인 무착(無著)의『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을 읽는 등 법문을 깊이 연구하였습니다. 719년 자신의 재산을 바쳐 정성을 다하여 감산사를 조성하였고, 이듬해인 720년 6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습니다.

미륵보살상의 명문 끝에는 동해 흔지(欣支) 바닷가에 66세의 나이로 돌아가신 어머니 관초리 부인의 유골을 뿌렸다고 되어 있고, 아미타불상의 명문에는 47세에 고인이 된 아버지의 유골을 같은 장소에 뿌렸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김지성이 어머니 관초리 부인을 위하여 미륵보살상을, 아버지 인장 일길찬을 위하여 아미타불상을 조성하였다는 사실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원문에는 위로는 국왕의 장수와 만복을 기원하고, 개원(愷元) 이찬(伊湌), 김지성 자신의 형제자매, 전처와 후처, 서형(庶兄) 등을 포함하여 법계의 일체 중생이 함께 세속을 벗어나 모두 부처의 경지에 오르기를 기원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삼국유사』에도 공통적으로 기록된 내용입니다.

조성 연대

명문에 따르면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은 개원(開元) 7년인 719년에 조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미륵보살상의 명문에는 겸어가 사용된 반면 아미타불상의 명문은 김지성에 대한 서술이 좀더 극진하며, 발원문 중간에 왕명에 의해 나마(奈麻) 총(聰)이 글을 짓고 승려인 경융(京融)과 대사(大舍) 김취원(金驟源)이 썼다고 기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마지막 행에는 김지성이 성덕왕 19년(720) 69세의 나이로 4월 22일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륵보살상은 김지성 생전에 완성되어 명문의 내용이 김지성의 서술을 반영한 반면, 아미타불상은 김지성의 사후 왕명을 받들어 나마 총이 찬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미륵보살상보다 아미타불상이 나중에 완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두 명문 사이에는 인명 표기에 차이가 있는데 미륵보살상에는 김지성의 이름이 ‘金志誠’으로, 아미타불상에는 ‘金志全’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생의 이름인 ‘양성’은 미륵보살상에는 ‘良誠’, 아미타불상에는 ‘梁誠’으로, 누나의 이름은 미륵보살상에는 ‘古巴里’와 아미타불상의 ‘古寶里’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표기 차이는 당시 발음의 혼용 현상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명문을 지은 사람이 달랐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불보살상의 양식적 특징

한국 고대 불교조각사에서 이 두 상이 손꼽히는 이유는 8세기 통일신라 불교조각의 성립 과정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삼국시대부터 이어진 고식의 흔적이 아직 채 가시지 않은 듯, 불보살상의 두 눈이 두툼하고 얼굴도 넓적하며, 커다란 상의 규모나 무게감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정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예불의 대상으로서 불상 정면의 모습을 강조한 석공의 의도 때문일 수도 있지만, 신체의 입체감과 팽만한 부피감을 강조한 8세기 중반 석굴암의 역동적인 인체 표현은 아직 보이지 않습니다. 아마도 유리벽에 막힌 듯 더 이상 뻗지 못한 채 신체에 밀착된 손과 팔 때문에 더욱 그렇게 보일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두 상을 조각하던 석공은 분명 당시 유행하기 시작하는 새로운 조각 양식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변화를 차분하고 담담하게 투영하였습니다. 그 결과는 섬세하면서도 경건하고 화려하면서도 단정한 감산사 불상만의 특징으로 승화되었습니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은 양감이 풍부하며 이국적인 화려한 장신구가 특징입니다.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목에는 2중의 목걸이가 걸려 있고 가슴과 팔에 걸친 천의(天衣)는 아래로 늘어져 있습니다. 팔에 찬 장신구나 치마[裙衣(군의)]에 걸친 구슬띠의 섬세한 표현 역시 눈에 띕니다. 이러한 미륵보살상의 장신구와 천의 형태, 착의법, 자세 등은 중국 서안(西安) 보경사(寶慶寺) 전래 당대(唐代) 십일면관음보살상과 일본 호류지(法隆寺)의 십일면관음보살상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은 당시 동아시아에서 유행하던 풍만하고 관능적이며 화려한 장신구를 걸친 보살상의 모습을 표현하려 한 것입니다. 그러나 감산사 미륵보살상은 통상적인 미륵보살상과는 달리 서있는 자세이며, 관음보살처럼 보관에 화불이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도상입니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금당(金堂)의 주존인 미륵 존상’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사찰 내의 미륵보살상의 비중이 컸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감산사 미륵보살상 부분

 

감산사 아미타불상 부분

 

아미타불상은 양 어깨에서 발목까지 흘러내린 법의(法衣)가 부처의 몸에 밀착되어 신체의 윤곽이 확연히 드러납니다. 반복적인 물결 모양의 대칭적인 U자형 옷주름은 불상의 부피감과 표면의 높고 낮음을 강조합니다. 이와 동일한 형식의 불상으로는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사암제(砂巖製) 불입상, 굴불사지 남면 불입상과 여러 금동불입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원류는 인도 굽타시대 불상의 영향을 받은 당대(唐代) 불상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의 불교 성지를 순례했던 구법승(求法僧)들이 귀국할 때 인도의 불상도 함께 전래하면서 비슷한 유형의 불상이 중국에서도 모각되었고, 이러한 형식이 다시 통일신라 불교 조각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산사 아미타불상은 8세기 중반의 불상처럼 적극적으로 입체감을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풍만한 양감과 역동적인 사실감을 강조하던 새로운 흐름을 인지하고 그 형식을 수용하여 시도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은 8세기 전반 불교 조각의 흐름을 보여주며 고대 신라 사회의 불교 신앙과 불교 미술의 관계 등 신라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달해 준다는 점에서 한국미술사의 대표 작품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작품이 감동을 주는 이유는 정성을 다해 감산사를 짓고 불보살상을 조성하면서, 그 공덕을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누려했던 김지성의 불심이 두 상에 온기를 불어 넣고, 우리로 하여금 아미타불과 미륵보살이 현현한 듯 느껴지게 했기 때문은 아닐까요?

비록 이 몸이 다한다 하여도 이 원(願)은 무궁하며,
이미 돌이 닳아 버릴지라도 존용(尊容)은 없어지지 않는다.
구함이 없으면 과(果)도 없으니, 원(願)이 있다면 모두 이룰 것이다.
만일 이 마음을 따라 원(願)하는 자가 있다면, 함께 그 선인(善因)을 지을 것이다.

- 감산사 미륵보살상 명문 중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경주 감은사터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갖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