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뚝버섯과 5

노랑망태버섯

노랑망태버섯 말뚝버섯과. 장마철에서 가을에 걸쳐 잡목림 등의 지상에서 발생한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백색 뱀알 모양의 덩어리가 생기고 점차 위쪽 부분이 터지면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자루는 흰색으로 주머니에서 곧게 10∼20cm의 높이로 뻗어 나오고, 갓은 주름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는데 강한 냄새가 나는 포자로 뒤덮여 있다. 이 버섯의 특징은 갓의 내면과 자루 위쪽 사이에서 노란색 망사 모양의 망태가 확 퍼져 내려와 밑부분은 땅 위까지 내려와서 화려한 레이스를 쓴 것 같이 되는 점인데, 주머니에서 자루가 솟아나와 망태가 퍼지는 속도는 급속히 이루어진다. 학명은 Phallus luteus (Liou & L. Hwang) T. Kasuya.

세발버섯

세발버섯 말뚝버섯과의 버섯.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숲 속의 땅 위에서 한 개씩 자란다. 처음에는 땅속에서 1.5cm 정도인 알 모양의 덩이가 생기고 윗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진 오징어발 모양의 버섯이 솟아나온다. 세 갈래의 발은 끝쪽이 서로 붙어 있고, 가운데가 활 모양으로 밖으로 휘어진다. 학명은 Pseudocolus fusiformis (E. Fisch.) Lloyd.

세발버섯

세발버섯 말뚝버섯과의 버섯.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숲 속의 땅 위에서 한 개씩 자란다. 처음에는 땅속에서 1.5cm 정도인 알 모양의 덩이가 생기고 윗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진 오징어발 모양의 버섯이 솟아나온다. 세 갈래의 발은 끝쪽이 서로 붙어 있고, 가운데가 활 모양으로 밖으로 휘어진다. 학명은 Pseudocolus fusiformis (E. Fisch.) Lloy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