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 2718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 (학명 Persicaria perfoliata. 일어 イシミカワ. 영문 Asian tearthumb)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란다. 길이 2m정도.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잎자루가 잎 밑에서 약간 올라 붙어 있어 배꼽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맥 위에 거슬러 난 잔 가시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꼭대기나 잎겨드랑이의 짧은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밑부분을 접시같이 생긴 엽상포가 받치고 있다. 어린 잎을 식용 하며, 전초는 강판귀, 根(근)은 강판귀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턱잎이 며느리밑씻개에 비해서 크고 배꼽 같아서 며느리배꼽이라 한다.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밑씻개 (학명 Persicaria senticosa. 일어 ママコノシリヌグイ. 영문 Prickled-vine smartweed)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길가나 빈 터, 특히 물가에서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란다. 길이 1-2m정도.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형고, 잎자루와 잎맥에 거슬러난 갈고리가시가 성글게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꼭대기 또는 잎겨드랑이에 두상으로 달리고 꽃자루에 잔털과 샘털이 있다. 전초를 廊茵(낭인)이라 하며 약용한다.

매듭풀

매듭풀 (학명 Kummerowia striata. 일어 ヤハズソウ)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산과 들, 길가에 난다. 높이 10~3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긴 거꿀달걀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린다. 줄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매듭풀, 둥근매듭풀의 전초를 鷄眼草(계안초)라 하며 약용한다.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 (학명 Persicaria perfoliata. 일어 イシミカワ. 영문 Asian tearthumb)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란다. 턱잎 안에 열매가 들어 있는 모양이 배꼽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 참가시덩굴여뀌라고도 부른다. 길이 2m 정도. 꽃은 7-9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꼭대기나 잎겨드랑이의 짧은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난상 구형이며 약간 세모가 지고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육질화된 하늘색 꽃받침으로 싸여 있어 장과처럼 보이며 8-9월에 익는다.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하며 신맛이 있다. 전초는 강판귀, 根(근)은 강판귀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둥근잎유홍초

둥근잎유홍초 (학명 Quamoclit coccinea. 일어 マルバルコウソウ) 메꽃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빈터나 인가 근처에 귀화하였다. 길이 1-2m. 꽃은 8~9월에 피고 홍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자라 그 끝에 3-5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깔때기 모양이다. 유사종인 유홍초는 새깃유홍초라고도 불리며, 잎몸이 빗살 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진다. 유홍초 (새깃유홍초)

닭의장풀

닭의장풀 (학명 Commelina communis. 일어 ツユクサ. 영문 Asian dayflower)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 밭이나 길가, 습지에서 잘 자란다. 높이 15-50cm. 잎은 어긋나기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어린순을 나물로 하고 전초를 압척초라 하며 약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