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맞이꽃 달맞이꽃 (학명 Oenothera biennis, 일어 メマッョイグサ, 영문 Evening Primrose, German Rampion) 바늘꽃과의 두해살이 귀화식물. 물가, 길가, 묵밭에 많이 난다. 높이 50~90cm. 꽃은 7월에 황색으로 피고 위쪽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저녁에 피었다 아침에 시든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14
왕원추리 왕원추리 (학명 Hemerocallis fulva f. kwanso. 일어 ヤブカンゾウ)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핀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원예식물 2020.07.14
금불초 금불초 (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일어 オグルマ, 영문 Oriental yellowhead)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60cm.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3~4cm이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14
둥근잎유홍초 둥근잎유홍초 (학명 Quamoclit coccinea, 일어 マルバルコウソウ) 메꽃과의 덩굴성의 한해살이 귀화식물. 꽃은 7~9월에 피고 홍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자라 그 끝에 3-5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깔때기 모양이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14
둥근잎미국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학명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메꽃과의 한해살이 귀화식물. 잎은 달걀모양~원형(圓形)이다. 꽃은 6-10월에 피며, 이른 아침에 피고 곧 오므라든다. 꽃대는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고 1-3개의 꽃이 달린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14
미국나팔꽃 미국나팔꽃 (학명 Ipomoea hederacea, 일어 マルパアサガオ, 영문 Ivy-leaved Morning-glory) 메꽃과의 한해살이 귀화식물. 꽃은 6-10월에 피며, 이른 아침에 피고 곧 오므라든다. 꽃대는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고 1-3개의 꽃이 달린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14
광대싸리 광대싸리 (학명 Securinega suffruticosa, 일어 ヒトツバハギ, 영문 Suffrutescent securinega) 대극과의 낙엽 활엽 관목. 주로 개울가나 계곡 주변에서 번성하고 산기슭 및 산 중턱의 건조한 곳에서도 자란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말~7월에 노랗게 피는데,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많이 모여 나며 지름은 3mm이고 꽃대 길이는 2~3mm이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2~5개(간혹 8개)씩 달리고, 꽃대 길이는 5~10mm이다. 싸리도 아닌 것이 싸리 인척해 이름도 '광대'싸리.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20.07.08
원추리 원추리 (학명 Hemerocallis fulva, 일어 ホンカンゾウ, 영문 Orange Daylily) 백합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Liliaceae). 시름을 잊게 해준다는 중국의 고사로 인하여 훤초(萱草), 또는 망우초(忘憂草)라고도 부른다. 옛부터 봄의 대표적인 맛있는 산나물의 하나로 `넓나물`, `넘나물`이라고 불렀다.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20.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