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고사리 거미고사리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바위나 노목에 붙어서 자란다. 거미일엽초라고도 하는데, 길게 자라난 중축 끝에 생긴 무성아가 땅에 닿으면서 새싹이 번져가는 모습이 거미가 줄을 치는 것과 비슷하여 거미고사리라고 한다. 학명은 Asplenium ruprechtii Sa.Kurata.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양치식물 2017.08.22
배초향 배초향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길이가 5-10cm, 나비 3-7cm로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으며 가..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21
제주상사화 제주상사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제주도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지만, 재배종이 넓게 퍼져 자라고 있어 자생지 확인이 매우 어렵다. 꽃은 8월에 피고 황미백색으로 꽃덮이의 주맥에 붉은선이 있다. 학명 Lycoris chejuensis K.H.Tae & S.C.Ko.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21
익모초 익모초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들에서 자라며, 높이 약 1m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길이 6∼7mm이며 마디에 층층으로 달린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학명은 Leonurus japonicus Houtt. 일어 メハジキ. 영문 Oriental motherwort.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20
쇠무릎 쇠무릎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마디가 무릎처럼 두드러지며 가지가 갈라진다. 꽃은 8∼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포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19
산씀바귀 산씀바귀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숲가장자리와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학명은 Lactuca raddeana Maxim. 일어 ヤマニガナ. 영문 Hairy-vein lettuce.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19
망초 망초 국화과.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0-150cm, 세로로 여러 개의 줄이 있다. 꽃은 7-9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추상으로 많이 달린다. 학명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영명 Canadian..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19
딱지꽃 딱지꽃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들이나 강가, 바닷가 등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30 ~ 60cm 정도이며, 6∼7월에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핀다. 학명은 Potentilla chinensis Ser.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19
꼭두서니 꼭두서니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덩굴식물.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길이 약 2m이다. 뿌리는 굵은 수염뿌리로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뿌리를 염료로 사용할 때 붉은색을 내기 때문에 학명(Rubia akane)도 라틴어의 빨강을 뜻하는 'ruber'에서 유래했는데, 국명도 붉은색을 뜻하는 옛..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08.19
광대싸리 광대싸리 대극과의 낙엽 관목으로 산기슭 중턱이나 볕이 잘 드는 강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4m의 관목이지만 10m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학명은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