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orcelain 7

'운현'이 쓰여진 영지 넝쿨무늬 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임진아) 추천 소장품

'운현'이 쓰여진 영지 넝쿨무늬 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임진아) 추천 소장품 조선시대 청화백자를 생각하면 우선 18세기 문인(文人)의 그림과 같이 잔잔하고 정갈한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푸른색의 가는 선으로 그린 사군자, 산수화, 동물화와 하얀 여백이 주는 느낌은 고요함과 편안함일 것입니다. 하지만 조선 초기, 그리고 특히 19세기의 청화백자는 전혀 색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단정함보다는 화려함이 압도적입니다. 은 청화(靑畫) 안료만으로 세련된 화려함을 가장 잘 표현해낸 작품으로 손꼽힙니다. 병의 형태는 19세기 들어서 새롭게 나타납니다. 목은 곧고 긴 편이며 몸체 아랫부분은 공처럼 둥급니다. 유색은 맑고 하야며 청화의 발색도 밝고 선명합니다. 몸 전체를 여백 없이 가득 채운 무늬는 영지버섯..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 - 자라를 닮은 멋스러운 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 - 자라를 닮은 멋스러운 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납작한 형태, 강렬한 색채와 화려한 무늬로 이국적인 느낌을 주는 분청사기 병입니다. 분청사기는 조선 15-16세기에 제작된 자기의 한 종류로 청자, 백자와는 다른 독특한 미감으로 눈길을 끕니다. 이 작품은 분청사기 자라병으로서는 드문 완형의 예로 독특한 기형, 과감하고 아름다운 표현으로 국보의 위엄을 당당하게 뽐내고 있습니다. 자라를 닮은 병 자라병이라는 이름은 명칭 그대로 자라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것입니다. 납작하고 둥근 몸체에 짧은 주둥이가 달려 있는데, 마치 자라가 엎드려 있는 것과 비슷해 보입니다. 보통 ‘병’은 가늘고 긴 목에 양감이 있는 몸체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하지만 이 자라병은 높이보..

여지 넝쿨무늬 대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여지 넝쿨무늬 대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여지 넝쿨무늬 대접은 고려 제19대 임금인 명종(明宗)의 무덤인 지릉(智陵)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지릉은 현재 개성시(開城市) 장풍군(長豊郡) 지릉리(智陵里), 남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과 평지가 접하는 작은 언덕에 있습니다. 지릉은 1916년 도굴사건을 계기로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하여 지름의 구조와 부장품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미 여러 차례 걸쳐 도굴된 것으로 보였으며, 이때 발견된 청자는 모두 12점입니다. 이 가운데 한 점이 바로 상감 기법으로 장식한 여지 넝쿨무늬 대접입니다. 실용적인 형태와 장식적인 무늬 이 대접은 구연에서 굽 부분으로 선이 완만하게 내려오다 점점 좁아드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안쪽 면에는 구연 아래 넝쿨무늬의 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 금구자기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황현성) 추천 소장품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 금구자기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황현성) 추천 소장품 구연부(口緣部)에 은(銀)으로 테두리를 두른 매우 희귀한 금구자기입니다. 안쪽에는 양인각(陽印刻), 바깥쪽에는 상감기법(象嵌技法)을 사용하였습니다. 안쪽 중앙에는 밑바닥에 둥그런 원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조각하였습니다. 안쪽 옆에는 연당초문(蓮唐草文)을, 구부(口部)에는 당초문대를 양인각하였고 바깥쪽 옆면 세 곳에는 모란을 상감하였습니다. 굽은 다리 굽으로 굽 안 바닥 세 곳에 규석 받침이 있습니다. 안쪽에는 연당초문을 양인각하고 바깥쪽에는 모란을 상감하여 내외면에 서로 다른 기법으로 시문하였는데, 이와 같은 시문 방법은 한 면에만 상감 기법이 소극적으로 사용되던 시기의 순청자와 상감청자의 혼합 양식을 보여줍니다...

구름은 천년을 흐른다 - 청자 상감 구름 학무늬 네귀 항아리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김희정) 추천 소장품

구름은 천년을 흐른다 - 청자 상감 구름 학무늬 네귀 항아리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김희정) 추천 소장품 구름무늬는 우리 민족의 오랜 문화 속에 깊이 녹아 있지만 주로 보조무늬로 사용되어 주목받지는 못하였습니다. 구름의 등장은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에서 가장 먼저 나타납니다. 단군신화에는 환웅이 지상으로 내려올 때 '풍백(바람), 우사(비), 운사’(구름)'를 함께 데리고 왔다고 전합니다. 이는 농경사회를 대변하기도 하지만, 혹독한 자연환경에 대한 경외의 마음 즉, 종교적 의미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국시대 무덤 벽을 장식한 사신도도 상서로운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보조무늬를 사용하였는데, 학자들은 ‘화염문(火炎文)’ 혹은 ‘서운문(瑞雲文)’이라고 합니다. 도가사상 수용에 적극적이었던 고려시..

보물이 된 고아한 청자 구름 학 무늬 매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보물이 된 고아한 청자 구름 학 무늬 매병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서유리) 추천 소장품 이 매병은 새로운 국보와 보물을 소개한 특별전 ‘선인들의 마음, 보물이 되다(2017.5.13.~7.9.)’에 전시되었던 작품입니다. 2015년에 보물로 지정된 구름 학 무늬 매병은 전시되었던 50건의 보물 가운데 유일한 청자로, 전시장 한편에서 아름다운 모습을 한껏 뽐냈습니다. 어떠한 점이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일까요? 어떠한 미적 가치 때문에 보물이 되었을까요? 또 보물은 어떻게 지정하는 것일까요? 유려한 매병의 자태 이 작품은 입이 작고 어깨선이 풍만한 전형적인 고려청자 매병입니다. 매병은 고려 초기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12세기에 특유의 아름다운 형태가 갖춰졌습니다. 13세기가 되면 매병의 크기가 더욱 ..

모란무늬 매병 - 생동하는 붉은빛 모란꽃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장성욱) 추천 소장품

모란무늬 매병 - 생동하는 붉은빛 모란꽃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장성욱) 추천 소장품 전성기 고려청자의 특성을 비색(翡色)의 좋은 청자색과 상감(象嵌)의 정교한 장식이라고 한다면, 이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銅彩 牡丹文 梅甁]은 상감청자 위에 동(銅) 안료로 채색을 더하였고 유난히 생동감 있으면서 화려한 표현에 그 가치를 둘 수 있는 수작(秀作)입니다. 또한 유사한 예를 찾기 어려워, 상감청자 매병의 전형(典型)으로 보기 힘든 특별한 매병입니다. 유려한 곡선을 이루는 매병의 몸체에는 커다란 모란꽃가지를 세 군데 배치하였습니다. 상감기법으로 장식한 모란꽃가지는 꽃잎과 꽃술의 세부까지 정교하게 묘사했을 뿐더러, 동채(銅彩) 기법으로 마치 꽃잎이 붉은빛으로 피어나는 듯이 화려한 느낌을 더했습니다. 무엇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