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의 야생화.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서 한국, 아무르, 만주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흔히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며 숲 속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크기는 15cm, 3~4월에 포엽 사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흰색의 꽃이 1개씩 피는데 꽃잎은 안쪽..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6.03.14
풍년화 풍년화 조록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외래종으로 이른 봄 잎보다 먼저 피는 황색의 꽃이 아름다워 계절감을 줄 수 있는 나무로 중부 이남에서 정원이나 공원에 심어 기른다. 높이 3~6m. 4월에 잎보다 먼저 황색꽃이 만발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만작(滿作)이라고도 하며 꽃은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6.02.28
복수초 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한국(전국), 동부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자생지의 대부분이 낙엽활엽수림하이다. 높이는 10-30cm정도이다. 꽃은 4월 초순에 피며 지름 3-4cm정도의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가지가 갈라져서 2-3개씩 피는 것도 있다. 꽃받침조각..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6.02.28
개복수초 개복수초 개복수초와 가지복수초 란 이름에는 여러가지 논란이 있어온 듯 합니다. 최근에는 대부분 분들이 개복수초로 부르는 듯 합니다. * 동해시의 찬물내기(냉천)라는 곳에서는 유독 일찍 (2월초순) 개복수초가 핍니다. 땅 밑을 흐르는 물줄기 때문에 비교적 지온이 높기 때문이라고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6.02.10
별꽃 별꽃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전국의 산, 들, 길가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나와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고 한쪽에만 연한 털이 줄지어 있다. 꽃은 양성이고 백색의 취산꽃차례로서 5~6월에 피고 정생 또는 액생하며, 꽃잎은 5개이다. 학명은 Stellaria media (L.) Vi..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6.01.13
향선나무 향선나무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m 정도로 자라며, 가지는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펴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짧은 총상꽃차례가 연속적으로 달리고 또는 끝에도 달려서 새가지 전체가 원뿔모..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5.11.19
콩배나무 콩배나무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3m정도. 줄기는 다각형인데 짧은가지는 갈색으로 가시처럼 생겼으며 껍질눈은 희고 뚜렷하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5.11.19
찔레꽃 찔레꽃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 전국의 산과 들,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키는 약 2m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2~3㎝, 폭이 1~2㎝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5~9개의 작은 잎은 서로 어긋난다. 꽃은 백색 또는 연홍색으로 지름이 약 2㎝로 새 가지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5.11.19
좀피나무 (2015. 10. 29) 좀피나무 피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일본이 원산으로 전국에서 심어 기른다. 양지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하다.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곳에서 생장이 왕성하고 해안지방에서도 생육이 좋다. 높이 10~15m. 잎은 어긋나기하며 일그러진 좁은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5.11.19
억새 억새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이나 평지 초원에 자란다. 높이는 1-2m. 엽신은 길이 20~60cm, 너비 6~20mm, 가장자리는 날카롭게 깔끔거린다. 화서는 길이 20~30cm, 10~25개의 총(raceme)이 장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중축은 총보다 짧다. 화축에는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지어 붙는다. 학명은 Miscan..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벼과,사초과,골풀과 201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