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1581

으름덩굴. Flora of Korea-Five-leaf chocolate vine

으름덩굴 (Akebia quinata,목통,으름,Five-leaf chocolate vine,アケビ) 으름덩굴과의 낙엽활엽덩굴식물로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월말~5월 중순에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이 2.5~3cm로서 보랏빛의 갈색이 난다. 열매는 장과로 바나나와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 10월에 갈색으로 익는데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줄기는 바구니 등의 세공재로 쓴다. 유사종 ▶멀꿀(Stauntonia hexaphylla : 상록성 덩굴로,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5-6장의 소엽이 모여 1장의 잎을 이룬다..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Red dead-nettle, ヒメオドリコソウ)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농경지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연한 보라색이다. Lamium purpureum, known as red dead-nettle, purple dead-nettle, or purple archangel, is an annual herbaceous flowering plant native to Europe and Asia. www.youtube.com/watch?v=Uy-e62djsFY&t=3s

광대나물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작은잎꽃수염풀, Henbit deadnettle, ホトケノザ)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전국 각처의 습한 길가나 밭둑에서 자라며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북부, 북미 등 북반구의 거의 전역에 분포한다. 꽃은 4-5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의 꽃이 나와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연한 어린 순은 식용하고, 전초를 보개초(寶蓋草)라 하며 약용한다. Lamium amplexicaule, commonly known as henbit dead-nettle, common henbit, or greater henbit, is a species of Lamium native to Europe, Asia and northern Africa. It is a l..

각시붓꽃. Flora of Korea-Long tail iris (2021.4.16)

각시붓꽃 (Iris rossii, 애기붓꽃, Long-tail iris, エヒメアヤメ)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중국 동부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붓꽃 종류 중에서는 가장 일찍 꽃을 피우며 꽃대는 높이 5-15cm이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붓꽃 종류로는 붓꽃, 노랑붓꽃, 솔붓꽃, 난장이붓꽃, 꽃창포, 타래붓꽃 등이 있다. 각시붓꽃의 학명 Iris rossii 가운데 속명 Iris는 무지개라는 뜻이고, 그래서 각시붓꽃의 꽃말은 '기쁜 소식'이라고 한다. Iris rossii, the long-tail iris, is a beardless iris in the genus Iris and in the series Chinenses of the genus. It is a rhizomato..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노고초, Korean pasque-flower, 2021.4.8)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우리 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꽃은 밑을 향햐여 꼬부라져 피고 꽃이 지고난 후의 종자는 노파의 백발을 연상하도록 하므로 '할미꽃'이라 부른다. 산자락, 건조한 양지의 풀밭, 묘지 주변 등 양지바른 남향지에서 자란다. (유사종) - 분홍할미꽃(Pulsatilla dahurica) : 북한지역이 자생지이며 꽃을 비롯하여 식물체 전체가 왜성이다. 세잎할미꽃은 백두산 주변 및 만주에 생육하며 잎이 가죽질이고 화색이 보라색이며 꽃도 대형이다. 한방에서 생약으로 이용하는 '백 두옹'은 원래 세잎할미꽃의 뿌리를 일컫는다. - 가는잎할미꽃(Pulsatilla cernua) : 제주도 산록 양지바른 곳에 자생하는 잎이 가늘고 예두이다. 5월에 분홍색으로 개화한다. - 산할미꽃(Puls..

봄의 요정 - 얼레지. Flora of Korea-Erythronium japonicum, Asian fawnlily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가재무릇, Asian fawnlily, カタクリ) 잎과 꽃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 산지의 비옥한 숲속에서 자라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꽃은 3~4월에 잎과 함께 나온 줄기 끝에 홍자색 꽃이 아래를 향해 피는데, 뒤로 활짝 젖혀지며 안쪽에 W자 모양의 자주색 무늬가 있다. 꽃이 흰색인 흰얼레지도 있다. 약간의 독성이 있는 잎을 우려내어 나물로 먹기도 한다. 중부지방에서는 화야산, 세정사, 천마산 등지에서 만날 수 있다. 얼레지는 씨앗이 땅에 떨어져 꽃이 필 때까지 6~7년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한데, 이 긴 기간동안 씨앗은 조건이 맞는 개미집 주변 땅속에서 영양분을 저축하며 성숙한다. 얼레지 씨앗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