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밥나무 까마귀밥나무 범의귀과의 낙엽 관목.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둥글고 9∼10월에 붉게 익으며 쓴맛이 난다. 까마귀가 좋아하는 열매라고 한다. 학명은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2
감국 감국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9∼10월에 줄기 윗부분에 노란색이나 흰색 꽃이 핀다. 꽃은 지름 2.5cm 정도로 비슷한 종인 산국보다 좀 큰 편이다. 학명은 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일어 ハマカンギク. 영문 Indian dendranthema.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1.02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산허리 아래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는 3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둥글거나 넓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붉게 익는다. 관상수로 정원에 심으며 울타리 ·방화수로 이용한다. 학..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2
호자덩굴 호자덩굴 꼭두서니과의 늘푸른여러해살이풀. 울릉도, 제주도 등 섬지방의 숲 속에서 자란다. 줄기가 땅을 기며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질이 두터우며 삼각상 달걀모양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2개씩 달리..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0.31
좀딱취 좀딱취 한해 꽃탐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꽃이다. 중부지방에서는 안면도에서 좀딱취와 호자덩굴 열매를 보는 것으로 한해를 마무리 한다. 국화과의 늘푸른여러해살이풀. 남쪽 해안 근처와 섬의 건조한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8-30cm이고 마디가 있으며 털이 다소 많고 단순하거나 가지가 ..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0.31
큰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서해안 일대를 비롯하여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북미원산으로 8~10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 꽃이 핀다. 비짜루국화 보다는 크고 잎의 양끝이 뾰족하다. 학명은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G.Jones. 영문 Slim Aster.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0.31
좀작살나무 좀작살나무 마편초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1.5m. 줄기는 네모지며 별모양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달걀형이고 점첨두 예형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10~20개의 자주색 꽃이 핀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3~4mm로 보라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학명은 Callicarpa dichoto..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0.31
참억새 참억새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이나 평지 초원에 자란다. 높이 1~2m . 엽신은 길이 20~60cm, 너비 6~20mm, 가장자리는 날카롭게 깔끔거린다. 화서는 길이 20~30cm, 10~25개의 총(raceme)이 장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중축은 총(raceme)보다 짧다. 화축에는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지어 붙는다. 학명..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벼과,사초과,골풀과 2017.10.31
사데풀 사데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거채(巨菜)·고매채·야고채라고도 한다. 바닷가 가까이에 자라지만 해수의 영향이 거의 없는 양지바른 곳에 자란다. 서해안 폐염전에 가면 흔하게 발견된다. 줄기는 무리지어 곧게 서고 잎과 함께 털은 없으며,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는다. 높이 30∼1..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0.31
갯개미취 갯개미취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갯가나 내륙의 소금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굵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25∼100cm이다. 9∼10월에 자주색의 두화(頭花)가 가지 위에 달리고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린다. 원산지는 유럽·아프리카이다. 학명은 Aster tr..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