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 콩과의 낙엽관목.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높이 3m 내외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며 향기가 강하고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학명은 Amorpha fruticosa.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9
작살나무 작살나무 마편초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 ~ 3m. 줄기는 둥글며, 별모양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달걀형, 긴 타원형이고 긴 점첨두, 예형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이며 취산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둥글..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9
위성류 위성류 위성류과의 낙엽소교목. 중국 원산으로, 한국 중부 이남의 인가 근처에서 자라는 이며 높이는 5m 정도이다. 가지는 가늘고, 밑으로 처진다. 꽃은 1년에 2번 피고, 연분홍색, 가지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봄철의 꽃은 늙은 가지에서 나오며, 크지만 무결실이다. 여름철의 꽃은 햇..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9
낙상홍 낙상홍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는 보통 2~3m정도이고, 꽃은 연분홍색으로 6월에 핀다. 열매는 작은 구슬모양으로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학명은 Ilex serrata Thunb.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나무 2017.11.09
금강아지풀 금강아지풀 벼과의 한해살이풀. 들에서 자라며, 높이 20∼50cm이다. 햇빛을 받으면 금빛을 띠어서 금강아지풀이라 부르는 듯하다. 강아지풀에는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갯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수강아지풀 등이 있다. 학명은 Setaria glauca (L.) P.Beauv. 일어 キンエノコログサ. 영문 Yellow bris..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벼과,사초과,골풀과 2017.11.09
물가깃털이끼 (?) 물가깃털이끼 (?) 깃털이끼과(Thuidiaceae) 깃털이끼속 (Thuidium)의 이끼. 학명은 Thuidium cymbifolium (Mitt.) A. Jaeger. 깃털이끼속의 이끼로는 이외에도 깃털이끼 (Thuidium kanedae Sakurai.), 털날개깃털이끼 (Thuidium assimile (Mitt.) A. Jaeger.), 푸른깃털이끼 (Thuidium pristocalyx (Mull.Hal.) A.Jaeger.) 등이 있다고 하는데..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버섯,이끼,지의류 외 2017.11.09
한라돌쩌귀 한라돌쩌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제주에서만 자라는 제주특산식물이다. 높이는 45~100cm이며, 9월에 자주색 꽃이 핀다. 주로 산속의 계곡주변이나 낙엽수림 아래 등과 같이 습기가 있는 곳에서 덩굴식물처럼 비스듬히 자라는데 투구꽃과 비슷하여 혼동되기도 한다. 학명은 Aco..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1.02
용담 용담 용담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 정도이며, 8~10월에 자주색 꽃이 핀다. 우리나라, 중국 동북부, 일본,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Gentiana scabra Bunge. 일어 リンドウ. 영문 Korean gentian.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1.02
단양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핀다. 한국 특산식물로 경기도 여주, 충북 단양과 제천에 분포한다. 1980년 충주댐 건설 전에는 남한강변 자갈밭에 널리 분포했으나 댐 건설 후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고 한다. 학명은 Aster alta.. 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풀꽃 (야생화) 201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