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의 풀꽃과 나무 이야기 2718

아까시나무 (아까시아). Flora of Korea-Robinia pseudoacacia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Black Locust, False Acacia, Bristly Locust, ニセアカシヤ) 콩과의 낙엽활엽교목.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1890년경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높이 25m. 꽃은 5~6월에 일년생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유백색이지만 기부에 누른빛이 돌고 향기가 강하다. 대표적인 밀원식물이며, 목재는 차량재, 상판, 목공예 재료로, 잎은 사료용으로 쓴다. 학명인 pseudoacacia는 ‘아카시아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아카시아(Acacia)는 아까시나무와는 다른 분류군인 아카시아속에 속하는 970여종의 상록 관목 및 교목의 총칭으로, 948종이 오스트레일리아 원산이며, 10종이 아시아 열대 지역에, 7종이 태평..

이밥, 입하(立夏)와 이팝나무. Flora of Korea-Retusa fringetree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니암나무, Retusa fringetree, ヒトツバタゴ) 물푸레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이팝나무란 이름은 꽃 모양이 이밥(흰쌀밥) 같아서 붙었다고 하고, 꽃이 피는 시기가 절기상 입하(立夏) 전후라서 이팝나무라고 한다는 설도 있다. 여기서 '이밥'은 조선 시대에 양반인 이(李)씨들만 먹는 밥이라 하여 ‘이밥’이라고 했다고 하는데 근거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학명 Chionanthus는 Snow flowering (눈꽃 같은 나무)을 의미한다.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老巨樹)가 전국에 7그루 있다. 중국,일본에도 분포한다. 골짜기나 개울 근처, 해변가에서 자라며, 25m 내외까지 자란다. 꽃은 수꽃양성화딴그루로 5월 입하(立夏)를 전후..

으름덩굴. Flora of Korea-Five-leaf chocolate vine

으름덩굴 (Akebia quinata,목통,으름,Five-leaf chocolate vine,アケビ) 으름덩굴과의 낙엽활엽덩굴식물로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월말~5월 중순에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지름이 2.5~3cm로서 보랏빛의 갈색이 난다. 열매는 장과로 바나나와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 10월에 갈색으로 익는데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줄기는 바구니 등의 세공재로 쓴다. 유사종 ▶멀꿀(Stauntonia hexaphylla : 상록성 덩굴로, 잎은 두꺼운 가죽질이고 5-6장의 소엽이 모여 1장의 잎을 이룬다..

라일락 (Lilac) - 엘리엇, 마네, 도상봉 그리고 아이유

라일락 (Syringa vulgaris, Lilac) 라일락은 봄의 향기를 전해 주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이다. 미국계 영국 시인 T.S.엘리엇의 유명한 장시 '황무지'가 잔인한 4월의 라일락으로 시작하고, 수많은 화가들의 그림 속에도 등장한다. '꽃과 정물'의 화가 에두아르 마네, 우리나라에서는 ‘라일락 화가’라는 별명을 얻은 도상백 화백의 그림에도 멋진 '라일락'이 등장한다. 노래로는 지난 3월에 발표된 아이유의 정규5집 'LILAC'이 라일락의 꽃말 ‘첫사랑', 그리고 ‘젊은 날의 추억'을 잘 보여주는 곡인듯 하다.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 등이 원산지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라일락이란 이름은 푸르스름한(bluish)을 의미하는 아..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Red dead-nettle, ヒメオドリコソウ)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농경지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연한 보라색이다. Lamium purpureum, known as red dead-nettle, purple dead-nettle, or purple archangel, is an annual herbaceous flowering plant native to Europe and Asia. www.youtube.com/watch?v=Uy-e62djsFY&t=3s

광대나물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작은잎꽃수염풀, Henbit deadnettle, ホトケノザ)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전국 각처의 습한 길가나 밭둑에서 자라며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북부, 북미 등 북반구의 거의 전역에 분포한다. 꽃은 4-5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의 꽃이 나와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연한 어린 순은 식용하고, 전초를 보개초(寶蓋草)라 하며 약용한다. Lamium amplexicaule, commonly known as henbit dead-nettle, common henbit, or greater henbit, is a species of Lamium native to Europe, Asia and northern Africa. It is a l..

귀룽나무

귀룽나무 (Prunus padus, Bird cherry, エゾノウワミズザクラ)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높은 산의 골짜기에 잘 자란다. 일본의 북해도,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등지에도 분포한다. 높이 15m정도.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는 새가지 끝에서 처지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6-7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조경수로도 많이 심는다. 변종으로 흰털귀룽, 서울귀룽, 차빛귀룽, 털귀룽, 흰귀룽 등이 있고, 여러가지 재배품종이 있다. Prunus padus, known as bird cherry, hackberry, hagberry, or Mayday tree, is a flowering plant in the rose family Rosace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