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뮤지엄 30

묘법연화경 변상도 (고려, 妙法蓮華經 變相圖)

묘법연화경 변상도 (고려, 妙法蓮華經 變相圖) '연화경' 변상도는 화면 오른쪽에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 장면을 그리고, 왼쪽 편에 경문(經文)의 설화 내용을 그린 종교화로, 왼쪽의 경문의 설화 내용은 각권별로 상이하다. 오른쪽의 석가 설법 장면은 오른손을 들어 설법에 열중하고 있는 부처와 그 주위를 아난과 가섭존자, 8대보살, 그리고 사천왕이 에워 싼 모습과, 그 앞에 두 손을 모아 합장을 한 청문중(聽聞衆)을 표현하였다. 묘법연화경제2권 변상도 (妙法蓮華經第二卷變相圖) 화면 왼쪽에는 '비유품'(譬喩品)에 나오는 불타는 집을 표현한 화택(火宅) 장면이 위쪽에 펼쳐지고, 그 아래에는 '신해품'(信解品) 중에 집 나간 아들이 거지가 되어 돌아오자 그 아들을 놀라게 하지 않기 위하여 스스로 가난한 이가 되어 아..

대방광불화엄경 권27,47 변상도 (고려, 大方廣佛華嚴經卷27 變相圖)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대방광불화엄경 권27,47 변상도 (고려, 大方廣佛華嚴經卷27 變相圖)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변상도(變相圖)는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종교화이다. 진리의 내용을 변화하여 나타낸 것이므로 변상이라 하며, 도상적 성격(圖相的性格)을 지니므로 변상도라고 한다. 대체로 변상도는 석가모니의 전생을 묘사한 본생도(本生圖)와 현생(現生)의 전기를 담은 불전도(佛傳圖) 그리고 정토(淨土)의 장엄도(莊嚴圖)가 중심이 된다. 따라서 변상도는 이들과 관련된 조각이나 회화 등의 조형체(造形體)를 포괄하는 명칭이기도 하다.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변상도(變相圖) '변상도’란 경전의 첫머리에 경문의 내용을 압축하거나 그 핵심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종교화이다. 고려시대의 사경은 대부분 변..

이명기ㆍ김홍도의 서직수 초상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이수미) 추천 소장품

이명기ㆍ김홍도의 서직수 초상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이수미) 추천 소장품 한 명의 선비가 공손하게 서 있습니다. 형형한 눈빛과 당당한 표정이 시선을 끕니다. 머리에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평소 집안에서 즐겨 쓴 동파관을 착용했습니다. 조선의 선비를 머리 속에 그릴 때마다 이 초상화를 떠올리게 됩니다. 문학과 예술을 즐긴 선비, 서직수 무엇보다 눈이 인상적입니다. 눈의 윤곽에 고동색 선을 덧그려 그윽한 깊이감을 주었으며 눈동자 주위에는 주황색을 넣어 눈빛이 생생합니다. 입고 있는 크림색 도포가 풍성합니다. 소매의 통은 아주 넓고 길이는 손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깁니다. 지체 높은 양반들의 도포일수록 이처럼 넉넉한 품세를 갖췄습니다. 동정 없이 폭이 넓은 목의 깃, 얌전하게 묶은 가슴의 세조대, 부드러우면서..

조선의 별전 (別錢)

조선의 별전 (別錢) 자료:국립민속박물관 별전(別錢)은 ‘별돈’ 또는 ‘이전(耳錢)’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원래는 주전서(鑄錢署)에서 화폐의 원료인 동(銅)의 순도와 무게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 삼아 만들었던 시주화(試鑄貨)이다. 이것이 인기를 끌자 왕실이나 사대부계급에서 청하여 수복(壽福)과 부귀(富貴)를 상징하는 동식물, 문자 등 여러 가지 문양을 넣어 주조. 기념품 내지 사람들의 염원을 담고 있는 장식품으로 여러 개의 별전을 엮어 장식적 용도로 활용하거나 열쇠고리 등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 한국의 역대 최고가 열쇠패와 별전 경매낙찰가는 16회 화동옥션의 1억2천만원이었다고 함. 조선의 별전 - 수복과 부귀, 장수를 기원 - YouTube 별전(別錢) 통용되는 화폐 이외에 특별한 사안을 기념하기..

심사정의 파교심매도(灞橋尋梅圖)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큐레이터 박해훈 추천 소장품

심사정의 파교심매도(灞橋尋梅圖)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큐레이터 박해훈 추천 소장품 파교심매도(灞橋尋梅圖)는 눈 내리는 겨울 날, 봄소식을 기다리며 선비가 매화를 찾아나서는 장면을 그린 것입니다. 이는 탐매도(探梅圖)라고도 하는데, 중국 당대의 유명한 시인 맹호연(孟浩然, 689~740)의 고사(故事)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탈속하고 고아한 선비의 대명사로 인식된 맹호연의 고사 파교심매도는 조선시대에 화가들이 즐겨 그린 듯 비교적 많은 작품이 남아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교전인 『사서오경』이 교양의 기반이었고 회화에서도 문인과 관련된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한 화제(畫題)를 많이 다루었는데 ‘파교심매’ 역시 문인 취향에 적합하여 많이 그려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국 당나라 시인 맹호연은 하북성 출신..

조희룡의 홍백매화도(紅白梅花圖)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조희룡의 홍백매화도(紅白梅花圖)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 연과윤의 e뮤지엄-국립중앙박물관편 조선, 조희룡(趙熙龍, 1789-1866), 124.8cmX46.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희룡(趙熙龍, 1789~1866)은 시, 글씨, 그림에 모두 뛰어난 재주를 보였던 화가다. 유작 중 가장 많은 수가 매화 그림인데 이와 같은 자신의 매화화벽(梅花畫癖)을 '석우망년록'에 상세히 적었다. 이 그림은 두 그루의 매화가 커다란 화면 전체에 펼쳐져 있는 본격적인 전수식(全樹式) 병풍이다. 병풍 전면에 걸쳐 용이 솟구쳐 올라가듯 구불거리며 올라간 줄기는 좌우로 긴 가지를 뻗어내고, 흰 꽃송이와 붉은 꽃송이가 만발해 있는 걸작이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이전 시대에 묵매가 많이 그려진 것과 달리 이 작품과 같이 ..

항해조천도 (航海朝天圖,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항해조천도 (航海朝天圖,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 연과윤의 e뮤지엄-국립중앙박물관편 조선, 40.8cmX3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인조의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1624년에 명나라에 파견된 이덕형(李德泂) 일행의 사신 행차 길을 담은 그림이다. 모두 25점으로 이루어진 이 그림은 당시에 제작된 '연행도폭(燕行圖幅)'을 토대로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 무렵에 다시 모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서장관(書狀官)으로 함께 갔던 홍익한(洪翼漢)의 '화포선생조천항해록(花浦先生朝天航海錄)'에는 사행의 규모와 그 과정에서 일어난 갖가지 일화가 매우 구체적으로 적혀 있다. 그림의 끝부분에는 훗날 바닷길을 이용해 사행할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의 사행길을 그림으로 그리게..

강세황의 산수도 (山水圖)

강세황의 산수도 (山水圖) * 연과윤의 e뮤지엄-국립중앙박물관편 동기'창'과 '심주'를 본받은 산수 (山水圖) 조선, 강세황(姜世晃, 1713-1791), 23cmX462.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강세황은 선비 화가로 자는 광지(光之), 호는 표암(豹菴)이다. 산수, 노송, 매화, 대나무, 화조화 등 다방면의 소재를 다루면서 남종화풍의 산수화 및 진경산수화 등을 남겼다. 시, 글씨, 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불렸으며, 당시 화단에서 이론가 및 비평가로도 이름을 날렸다. 병중의 수지(綬之)를 위해 그렸다고 하는 이 그림은 36세 때의 작품이다. 수지는 영중추부사를 지낸 이복원(李福源, 1719-1792)의 자(字)로 생각된다. 두 폭의 산수도와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부분의 산수도..

꽃과 나비 (화첩도,花蝶圖)-남계우(南啓宇)

꽃과 나비 (화첩도,花蝶圖)-남계우(南啓宇) * 연과윤의 e뮤지엄-국립중앙박물관편 조선, 남계우(南啓宇),127.9cmX28.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남계우(南啓宇, 1811-1888)는 숙종대의 문신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 5대 손으로, 정3품의 벼슬을 지냈다. 그는 산수화도 그렸으나 평생 나비와 꽃 그림을 즐겨 그렸으며, 조선시대 나비 그림의 제1인자로서 ′남나비[南蝶]′라고 불렸다. 이 그림은 꽃과 나비를 그린 화접도(花蝶圖)로서 섬세한 필치에 사실적으로 그려진 병풍, 대폭, 화첩 등 많은 작품이 전한다. 화면 윗쪽에는 제발(題跋; 책이나 그림에 그 유래나 펴내는 뜻, 감상, 비평 등을 적은 글)이, 중앙에는 무리 지어 날아다니는 나비들의 모습이, 아래쪽에는 화려하게 핀 꽃들이 ..

모란도(牡丹圖) 십폭 병풍

모란도(牡丹圖) 십폭 병풍 * 연과윤의 e뮤지엄-국립중앙박물관편 모란(牡丹)은 꽃이 크고 그 색이 화려하여 동양에서는 고대부터 꽃 중의 왕으로 임금을 상징하며, 부귀화(富貴花) 등의 별칭으로 알려져 왔다. 조선시대 그림 속 모란은 새와 풀, 모란이 함께 어우러지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조선 초,중기에 자주 그려졌던 이러한 전통은 조선 말기까지 이어진다. 조선 후기에는 모란의 비중이 커지고 풍성함이 강조되며, ‘채색모란도’와 먹으로만 그린 ‘묵모란도’로 다채롭게 그려진다. 조선 말기에는 모란만 단독으로 그려지는 모란도가 유행했다. 모란 병풍은 조선시대 왕실에서의 종묘제례, 가례(嘉禮, 왕실의 혼례), 제례(祭禮) 등의 주요 궁중 의례와 행사 때 사용되었다. 10폭에 이르는 대형 화면에 연속적으로 펼쳐진 모란..